재형저축 소득공제 가계경제에 도움될까?
지난 3월에 재형저축이 18년만에 부활된다고 말 많던데..
그놈의 7년이란 가입기간때문에 찬밥신세가 되었다지요..
이율이 18년 전처럼 막 30% 해갖고 높은것도 아니고..ㅡㅡ;;
처음 재형저축 출시할땐 은행마다 금리 올리고 프랑걸고 하던데.. 이젠 찾아보기도 힘들더라구요
절세혜택을 받으려면 기본 7년!!
3년동안은 고정금리라 그나마~~ 지금 2.5%대에 비하면 1%높은데 3년후엔 변동금리..
중간에 뺄수도 없고, 고스란히 묶이는 거라.. 매력이 떨어지죠..
요즘 사람들이 재테크를 좋다면 무턱대고 따라합니까.. 이것저것 다 재보죠..
상황이 그러다 보니 정치권에선 최고 400만원까지 소득공제 추진한다고 하네요.
재형저축 가입조건은 연봉 5000만원 이하, 소득 3500만원 이하의 저소득 근로자!! 만 가입할수 있는뎅..
갈수록 돈 모으기 어려운 세상입니다..그려..
이러다 일본처럼 고령화 사회, 돈도 없고..ㅡㅡ; 그럼 어떡하죠..쩝...
제 생각에는요
가계경제의 기본은 가장 기본적인 검소, 근검절약에 있는거 같은데 말이죠..
우리 사회가 버는돈은 고정이고, 쓰는돈은 콸콸~~ 잠금장치 없는 수도꼭지 같잖아요..
콸콸 안쓰고 싶어도 인플레이션때문에 ㅜㅜ 전에 1만원이면 장볼수 있었던게..
지금은 기본 2~3만원 줘야 살수 있는 현실..
이런 속에서 돈을 모으고 하려다 보면 기본이 되는 소비습관, 가정경제를 볼수 있는 시야가 필요하다 ~
그말이죠..
먼저는 가계부를 통해 수입과 지출, 부채와 자산을 체크해서 재정상태를 바로 알아야 하겠고요
두번째로는 앞으로 들어갈 비용에 대한 재무설계가 필요한거 같아요
저같은 경우는 미혼일때는 미래에 애는 언제 낳을지, 결혼을 언제할지.. 구체적 계획이 없다보니
목표의식도 없이 그냥 모았는데요 (그나마 모아서 다행..^^ㅋ)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니 아이 나이를 기준으로 언제쯤 교육비가 얼마가 필요하고 ..뭐 그런식으로 잡히더라구요
미혼보다 기혼이 돈을 잘 모으는 비결이 아마 이런게 아닐까 싶어요
가정을 꾸리니 단기와 장기자금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목표를 가지고 불입하게 되는거죠.
솔직히 재테크를 하려면 주식이네 펀드네 부동산이네 말들이 많지만 이런건 정말 공부를 해야 하는거고..
공부하려 들여다 보다 보면 생소한 용어에 머리만 아파오고...
이런거에 투자를 하려해도 기본이 되는 소비습관이 흥청망청이면 ㅡㅡ;; 나중엔 빚잔치 할지도..
기본이 되는건 소비습관을 잡고, 재무계획을 세우고, 앞으로 한발짝이라도 나갈려는 마음인거 같아요
재테크라니 고수익만을 바라보는게 아니라
원금을 늘리면 이자가 2%로 라도 더 받을수 있는거니깐요^^
지금 당장 가계경제가 걱정이라면 저처럼 가계부를 써보세요^^
그리고 재무설계 요즘 무료로 많이 해주잖아요^^
한번 해보세요^^ 의외로 도움이 되더라구요^^
나름 .. 가계재정에 대한 뼈대가 잡힌다 할까요?
제가 잘 모르던 상품도 소개받기도 하고요^^
같은 소득공제라도 재형저축 소득공제 혜택이나 그런게 정말 나한테 유용한지
따져보고, 알아보고^^ 뭐 그래야죠^^
'경제/ 재테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갱신형암보험 비교추천 가입순위 (0) | 2013.07.07 |
---|---|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 13%인상 추진 (3) | 2013.06.28 |
스미싱피해구제 스미싱 문자 모바일 청첩장 클릭금지!! 스미싱방지대책 (0) | 2013.06.14 |
전기세 아끼는 방법 조회방법 극한에서 살아남기 (2) | 2013.06.05 |
금리인하 여파 2금융권까지 확산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