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 .. 출산후 6개월은 엄마로부터 면연력을 받아서 병원에 안가도 된다고 아는게 상식인데요
제 경험으론 신생아일수록 더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신생아는 호흡 자체가 미숙하기 때문에
기침, 콧물이라는 기본적인 감기 기운이 있으면 바로
병원에 가서 처방을 받아야 병을 더 키우지 않을수 있어요
엄마로 부터 받은 면역이라 해도,
엄마 자신이 연약하기도 하고요..ㅡㅡ;
후천적으로 집안 환경 (환기, 습도등)의 영향을 받기도 하니깐요..
유아일수록 감기에서 중이염으로
감기에서 모세 기관지염으로 쉽게 전이 되니
6개월전 면연력을 따지지 마시고 병원으로 가세요~
병원에 갈때는 미리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시고,
아이 태열, 아이 피부염, 아이 수유 상태등 의사와 상담할것을 적어서 가져 가시면
당황해서 잊거나 하지 않아요
소아과 선택
소아과를 선택할때는 한곳을 주치의로 두고 꾸준히 다니시는게 좋아요
아이가 먹은 약, 병의 발뱅 간격, 아이의 성장 상태등을 한 의사가 보는게 더 좋거든요
약물남용도 막고요
대체로 아동병원을 많이 가시는데
아동병원은 다수의 의사가 파트 타임으로 돌아가요
00선생님 월,수, 금 진료
00선생님 월,화,목 진료.. 이런식으로요
진료실은 하나지만 선생님은 요일 따라 바뀌기 때문에
미리 확인을 하심이 좋아요
인기 선생님의 경우 예약이 가득차서 일찍 가도 기본 2~3시간을 대기 해야 하기도 해요
미리 다니는 병원의 예약제도나, 병원 전화번호,
선생님들의 근무표를 받아보심이 좋아요
아이가 어릴땐 대형 아동병원보다 집 근처의 작은 소아과가 더 좋겠지요 ^^
감기예방
1. 손을 잘 씻겨 주세요
2.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집안에선 흡연은 금지!! 가스 레인지 사용시 환풍기를 틀어 연소 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세요
3. 온도와 습도는 알맞게 유지해 주세요
실내온도는 20~22도 습도는 50~60% 인데요
아이가 감기에 걸리면 습도를 더 높여주세요
4. 아이에게 알레르기가 있으면 애완동물은 물론, 꽃도 키우면 안되요
청소할때도 먼지가 나지 않게 걸레로 청소 하셔야 하고요
메밀베게, 곰인형, 카페트, 먼지 날리는 소파도 안녕~~
알레르기에 원인이 되는 집먼지 진드기가 자랄 틈을 안주셔야 되요^^